본문 바로가기
728x90

쿠팡이츠2

#3 [트렌드 분석] 존재하는 것으로 또 다른 실재를 경험하는 방법. 배달앱과 위치정보서비스 그리고 여행사 창업 트렌드의 변화 /w 크리에이트립 2-2편, 독과점과 트렌드 편에 이어서 계속 작성됩니다. 트렌드라는 것은 세상에 실재할까요? 눈에 보인다고 생각하나요? 아니면 트렌드는 눈에 보이지 않고 사람이나 세상 속 어딘가에 존재하는 '무형의 움직임'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나요? ​ 사실 트렌드라는 것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면 제가 이러한 포스팅을 할 필요도 없겠지요. 눈에 보이기 때문에, 누구나 조금만 생각을 전환하면 알아챌 수 있기 때문에 제가 이러한 설명도 할 수 있을 거예요. 저는 트렌드가 세상에 반드시 존재한다고 생각해요. 지금 바로 우리 눈앞에요. 지금 우리가 들고 있는 스마트폰 안에, 태블릿 안에 그리고 각자가 이용하는 SNS 안에. 코로나 시절에 배달 앱들이 엄청 뜨거운 인기였던 것, 다들 기억하실 거예요.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음식 .. 2024. 3. 5.
#2-2 [트렌드 분석] 독과점과 트렌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예시 : 배달의민족(배민)과 쿠팡이츠. 넷플릭스와 티빙 그리고 유일한 흑자 달성 애니메이션 OTT 서비스 라프텔. 2-1편, CAGR 긍정의 힘 편에 이어서 계속 작성됩니다. 온라인 쇼핑 산업이 아래와 같은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하던 시기에는 '구매대행'이라는 시장도 이미 존재했어요. 지금은 W(더블유)컨셉으로 더 유명한 위즈위드라는 서비스를 포함해서 약 20여 개의 업체가 시장에서 경쟁을 하던 시기였어요. 특히 그중에서 위즈위드라는 서비스는 국내 구매대행 시장 점유율(Market Share)이 50%가 넘는 과점 형태였고요. 여기서 한 가지 중요한 포인트를 말씀드릴게요. 보통 사람들은 한 카테고리에서 특정 업체가 과점 또는 독과점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면, '새로운 업체 또는 신규 브랜드가 진입하기 어렵다'라는 인식을 하기 쉬운데요. 트렌드 관점, 특히 리테일 관점에서 보았을 때에는 그렇지 않아요. 정 반대.. 2024. 2. 29.
728x90